2018년 수능 외국어영역이 유난히 난이도가 높은 모양이다. 지문도 상대적으로 예년보다 긴 듯하다.
외국어영역 난이도가 높게 나왔을 때 흔히 나오는 기사가, 원어민, 심지어 영어선생인 그들에게 풀어보라고 했는데 그들도 어려워하거나, 제 시간에 못 풀거나, 오답을 내더라는 것이다. 그만큼 난이도 조절에 실패하여 전체적으로 수능 응시생들이 어려움을 겪었더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수능 외국어영역의 문제는 난이도가 높은 문제, 소위 불수능의 문제가 아니라, 문제 출제 방식이 지극히 한국적이기 때문이다.
TOEFL이나 GRE, IELTS 등은 원어민이 출제하는 시험이지만 난이도, 어휘 수준 면에서 압도적으로 난해하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그대로 적용하기는 곤란하다. 하지만 대학 입시를 위해 전국의 응시자들을 1등부터 꼴등까지 줄은 세워야겠으니 변별력을 가장한 한국식 수능이 탄생하는 것이다.
수능 외국어영역 지문을 보면, 원어민이 쓴 영어 지문 중 상대적으로 짧거나 고등학생 수준으로 단어를 변경한 지문이 아니라, 아예 한글이었던 원문을 한국인 영어과목 선생이 출제자가 되어 번역하여 만든 지문이 대부분이다. 즉 문제를 위한 문제를 만들기 위해, 원어민이 아닌 한국 영어 선생들이 모여 한국식 문체로 지문을 만들어 출제를 하니 이 사단이 나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적 문체에 한국적 문장 및 논리 흐름을 보면서 원어민 선생들이 당연하게도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능 외국어 영역을 원어민이 출제하게 하거나, 최소한 원어민을 출제진에 포함시키지 못하는 이유는, 보안과 책임 때문이다. 한국 사회에서 가장 민감한 수능의 문제이기 때문에 철저히 보안이 지켜져야 하고, 수능 출제 후 출제진의 커뮤니케이션과 동선도 철저히 통제가 된다. 외국 국적, 다른 언어의 원어민은 그렇게 하기 어려운데다, 유출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을 시에 책임을 묻기도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한국 사람들이 모여서 한국 문체로 만든 영어 시험, 수능 외국어 영역이 탄생하는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세 가지 대안을 제시한다.
첫째, 성인 미만 청소년들만을 대상으로 하는 공신력 있는 영어 시험을 국가가 주관하거나 국립대학에 위탁하여 만드는 것이다. 일례로 서울대는 TEPS라 하여, TOEIC에 준하는 자체 영어 시험의 기준을 만들었다. 행정고시, 외무고시의 경우도 영어 자격을 토익, 토플 등으로 대체한지 오래다. 수십 만이 응시하는 수능까지 TOEIC으로 대체하여 ETS라는 미국 사기업의 배를 불려줄 필요는 없고, 국가가 원어민을 동원하여 정기적으로 문제를 출제하는 것이다. 이는 수능 뿐만이 아니라 전국의 내신 영어 과목도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둘째, 외국어 영역 지문에서 한국 출제진이 번역한 지문 말고, 원래 존재하는 원어민의 지문 (픽션, 논픽션 등)의 비중을 늘리는 것이다. 실제 토플과 GRE 등은 그렇게 하고 있다. 고등학생의 어휘 수준에 맞는 원어민의 픽션, 논픽션 지문은 얼마든지 구할 수 있다.
셋째, 출제는 한국인 출제진이 하더라도 최소한 검수 단계에서 외국인을 도입하는 것이다. 물론 이 경우에도 보안 각서 등 책임 소재를 분명하게 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알파벳만 사용하고 문법만 맞다고 해서 영어가 아니다. 초중고생의 모든 기준이 되는 수능이 실제 원어민이 사용하는 표현으로 바뀌어야 한국의 영어 실력이 진정으로 향상될 것이며, 외국어 영역의 난이도가 매년 달라지는 문제도 해결될 것이라 본다.
'사회獨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김연아, 박지성, 손연재가 싫어요. (14) | 2017.12.0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