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3 연예대상은 역대 최악이다. 스타 눈치보기, 연공서열, 자사출신 개그맨에 대한 선호, 비연예인에 대한 차별, 여성에 대한 배려 불공정함의 결과



위 글을 통해 2018년 3사 연예대상에 대해 신랄히 비판한 바 있다. 특히 대상 수상자 선정에 관한 불공정함과 저급함이 주된 내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한 가지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예대상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대상 수상을 '개인'이 아닌 '프로그램'이 받도록 하는 것이다. 가장 권위있는 영화 관련 시상식인 아카데미 상의 경우, 가장 영예로운 상이며, 가장 마지막에 수여되는 상이 '최우수 작품상'이다. 


현재 3사 연예대상의 경우, 남녀 최우수상을 개인에게 각각 수여하고도, 또 그 위에 개인에게 대상을 주니 문제가 발생한다. 첫째, '최우수'라는 단어의 뜻은 최고로 우수하다는 것인데, 최우수상보다 상위에 있는 개인상이 어떻게 존재할 수 있단 말인가? 둘째, 위 블로그 글에서 밝힌 것처럼, 개인에게 수여하니, 스타 눈치보기, 연공서열, 자사출신 개그맨에 대한 선호, 비연예인에 대한 차별, 여성에 대한 배려 등의 불공정함이 발생한다. 따라서 프로그램에게 수여를 하면 이러한 불공정함을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다. 셋째, 프로그램은 다 같이 고생하여 만들고 가장 큰 영예는 단 한 사람, 그것도 출연진 쪽에서만 가져가는 것이 적절하지 못하다. 예능 프로그램은, 김병만의 정글의 법칙이나 백종원의 골목식당처럼 한 개인의 역량이 프로그램의 존치와 운영에 압도적인 영향을 미치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심지어 이 두 프로그램마저도) 출연진 뿐만 아니라 PD, 작가, 음향, 영상팀 등 많은 사람의 노력이 결합하여 결실을 맺는 일종의 종합예술이다. 따라서 최고의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관련된 모든 이에게 공로를 돌리고 노고를 치하하는 것이 더 바람직한 것이라 본다. 넷째, 프로그램을 선정할 경우 선정기준이 보다 명확해진다. 시청률, 광고액수, 협찬액수, 투자 대비 효율 등 방송사 입장에서는 보다 수월하게 객관적인 지표를 참고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대상 수상 선정방식도 여론조사나 인기투표를 통해, 가장 중요한 시청자의 선호를 그대로 반영하기가 용이하다. 


2018년의 SBS 연예대상 이승기 수상과 같은 최악의 불공정한 참사가 다시는 일어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 크다. 이를 위해서는 궁극적으로는 개인이 아닌 팀 전체가 영예를 가져가는 프로그램이 가장 큰 영예인 대상을 받는 방식으로 바뀌는 것이 바람직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