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바이러스 (COVID-19)로 인해 전례 없는 전 세계 전염 상황(pandemic)을 맞이했다. 다행히도 한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지역이 되었다. 이 글에서는 바이러스로 인해 갑자기 수요가 급증하여 구하기 어렵거나, 가격이 훨씬 비싸진 물품들을 짚어보고자 한다. 거의 대부분의 항목이 이 판데믹 상황에서 세계 최고 대응 수준인 한국에는 적용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음을 먼저 염두에 두길 바란다.
1. 마스크(Mask)
한국을 제외한 미국, 프랑스, 영국, 일본 등 주요 국가에서는 일반 시민들은 커녕, 최일선에서 일하는 의료진들마저 마스크 부족으로 시달리고 있다. 일반 일회용 마스크의 경우 미국이나 한국이나 천원 정도였는데, 이제는 그 10배를 주고도 물량이 없어 구하지도 못하는 나라가 많다. 특히 차단 효과가 높은 N95 마스크의 경우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 만큼 어렵다. 얼마 없는 분량조차 의료진들에게 우선 지급되는지라, 만일 천행으로 구했다고 해도, 의료진도 부족하여 못 쓰는 마스크를 사재기한 사람으로 따가운 눈총을 받게 된다. 즉, 있어도 선뜻 쓰지 못한다.
2. 손 소독제(Hand Sanitizer)
손 소독제 역시 구하기 정말 힘들어졌다. 대부분 안티 박테리아(Anti-Bacteria) 효과가 있기 때문에, 안티 바이러스 효과가 있는지는 제대로 검증이 되지 않았지만, 그래도 상시 여러 군데에 비치해놓고 수시로 바를 수 밖에 없다.
3. 손 비누(Hand Soap)
역시 해외의 매대에는 손 비누 칸도 사람들이 모두 사 가서 텅 비어있는 경우가 많다. 외출하고 들어온 뒤, 혹은 외부에서 배달된 물품을 만질 때 수시로 손을 씻는게 중요하다.
4. 살균제(Disinfectant)
이것 역시 구하기 힘들다. 물에 희석하여 분무기에 담아 수시로 집안과 차안 구석구석을 청소해야 하기 때문이다.
5. 살균세정 티슈(Disinfectant Wipes)
균이나 바이러스의 온상이라고 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지갑, 열쇠, 신용카드 등 외부에 자주 노출되는 물품 역시 수시로 닦아주어야 할 필요가 있어 수요가 크게 늘었다.
6. 노트북(Laptop)
한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재택근무 전환자가 많아, 평소 자택에 업무 환경(working station)을 구축해놓지 않은 사람들의 경우, 저마다 노트북을 사고 있다. 대학과 초중고에서도 원격 수업을 하면서 인원 수대로 맞추어놓기까지 해야 한다. 이미 새로운 수요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평을 받아 소비자의 환심을 사기 위해 수시로 할인 행사를 하던 노트북이 거의 할인을 하지 않고 있다. 제 값이라도 웬만하면 필요에 의해 구입을 하기 때문이다. 세일도 하고 성능도 좋은 제품은 어김 없이 재고가 없다고 나온다.
7. 모니터(Monitor)
역시 재택근무의 일환으로 듀얼 모니터를 사용하려는 이들로 인해 모니터가 세일을 하지 않는다. 불과 1~2년 전부터 입소문을 타던 주로 중국제품 일색인 휴대용 모니터(portable monitor) 역시 재고가 없는 제품이 눈에 띈다.
8. 태블릿(Tablet)
원격 수업을 할 때 적어도 아이들 한 명 당 노트북, 데스크탑, 태블릿, 스마트폰 네 개 중 한 개는 반드시 있어야 한다. 노트북과 같은 이유로 수요가 많아졌다. 다만 태블릿의 경우, 이미 수요가 한계에 거의 도달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공급이나 재고도 충분하여 구하기 어려운 정도에 이르지는 않는 듯 하다.
9. 냉동고(Chest Freezer)
한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의 경우 이동 금지 명령으로 나라 전체가 셧다운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식료품 구입 등 예외적인 상황만 허용이 되는데, 따라서 예전처럼 장을 자주 보러 가지 못하니, 냉동고가 중요해진다. 미국의 경우 전자제품을 파는 거의 모든 종류의 매장에 냉동고는 재고가 없으며 주문도 불가능하다. 있어도 이전 가격의 2배 이상 상승했거나 주문한 뒤 한 달 여를 대기해야 한다.
10. 빵(Bread)
주식이 밥인 한국과는 달리 서양문화는 빵이 주식이다. 매대에 가면 식빵이 다 팔려 있는 경우가 많다.
11. 밀가루(Flour) 및 케익 믹스(Cake Mix)
가장 구하기 힘든 물품 중 하나이다. 서양의 경우 가정마다 오븐이 하나씩 있는데, 집에 있는 시간까지 많아지니, 각종 쿠키, 파이, 케이크, 머핀 등을 만들기 위해 필요하다.
12. 파스타 면(Pasta)
건조 상태라 보관이 용이한 파스타 면 역시 구하기 힘들다.
13. 캔 음식(Canned Food)
유통기한이 길어 장기 보관이 가능한 캔 음식 역시 구하기 힘들다.
14. 곡물
역시 건조 식품으로 장기 보관이 가능하기에 구하기 힘들거나 구입 수량에 제한이 걸려 있다.
앞으로 계속 update됩니다.
어서 빨리 전 세계가 바이러스로 인한 아픔에서 회복되기를.